2023년 서울 안심소득 신청자격과 신청기간 지원금에 대해 알아볼께요!
서울시에서는 저소득계층을 대표하는 가구들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여 향후 3년간 안심소득을 지원하면서
소득격차 감소나 근로의욕 저하 예방과 같은 사회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삶의 질 전반에 걸친 개선효과를 객관적, 주관적 지표들을 통해 정밀하게 분석해나갈 예정입니다.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은 대안적 소득보장체계의 효과성과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정책실험이라고 합니다.
안심소득은 음소득세와 달리 , 모든 복지를 존치하면서 완전히 겹치는 생계. 주거급여만을 안심소득 지원금으로 대체합니다.
안심소득이 필요한 이유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은 사업공고일 기준 서울시에 실제 거주하면서 주민등록상 주소지도 서울시인 시민들 중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재산이 3억 2,600만원 이하인 가구에서 신청가능 합니다.
🛑 소득기준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은 가구의 소득평가액이 기준중위소득 85% 이하인 가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득평가액이란?
가구의 실제소득에서 가구 특성에 따른 지출요인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에 따른 지출요인
🛑2023년 가구별 중위소득
🛑재산기준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은 가구의 재산평가액이 3억 2,600만원이하인 가구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재산 평가약 = 일반재산 + 금융재산 + 자동차 - 부채
🛑가구기준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은 개인이 아닌, 가구 단위로 신청자를 모집합니다.
안심소득 시범사업에서 말하는 가구란 ?
세대별 주민등록표 등재된 사람 ( 동거인은 제외 ) 으로 생계나 주거를 같이 하는 가족
단 배우자 30세 미만의 미혼자녀는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보장가구에 포함
안심소득은 기준 중위 소득 85% 미달액의 절반 (50%) 을 지급합니다
안심소득 급여 = 기준 중위소득 85% - 소득평가액) ✖️ 0.5 - 차감 공적이전소득
2023년 한부모가족지원제도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2023년 한부모가족지원제도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2023년 한부모가족지원제도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여성가족부는 올해 자녀 양육비 지원 등 한부모 가족 지원에 작년대비하여 약 18% 늘어난 예산을 편성하였다고 합니다.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yesbi.tistory.com
2023년 저출산 고령사회
2023년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발표
2023년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발표 정부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을 대응하기 위한 종합대책으로 인구구조 번화와 대응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육아휴직기간과 대상을
yesbi.tistory.com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청년 사회서비스 사업단 공고 중 지원사업을 소개합니다. (1) | 2023.02.02 |
---|---|
자동차 검사 이렇게 준비하면 끝! 검사수수료와 예약방법까지 (2) | 2023.01.27 |
2023년 한부모가족지원제도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1) | 2023.01.13 |
여권 발급 준비물과 비용 그리고 온라인 재발급 방법까지 알아보아요! (2) | 2023.01.07 |
2023년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발표 (0) | 2022.12.31 |
댓글